ISOTECH 제품은 Dryblock, Blackbody 등 모두 3216 컨트롤러를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이 생긴 것이 3216 컨트롤러이고 만약 테두리가 어두운 색상으로 깔려 있다면 해당 컨트롤러는 2216 컨트롤러라고 해서 오래 전에 나온 것이라 보면 됩니다.
따라서 컨트롤러가 모두 같기 때문에 장비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컨트롤러의 보정작업은 동일합니다.
해당 글에서는 989라는 Blackbody 장비를 이용해서 보정작업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정이 왜 필요한가??
보정은 교정과는 다른 말입니다. 교정은 비교라고 하면 보정은 틀어진 값을 바로 잡는 작업을 뜻합니다.
장비는 사용하는 시간에 따라 온도값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환경, 노후화, 기타 요인에 의해 온도의 지시값이 차이가 나게 되는데 이 틀어진 값을 기준점과 비교하여 다시 맞춰주는 작업을 보정이라 합니다.
그럼 989를 통해 보정이라는 작업을 이해해 보고 보정 절차를 이해해 보도록 합시다.
989 측면에는 989의 펠티어 블록의 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도록 마개가 씌워져 있습니다. 해당 마개를 제거하고 기준 온도계를 삽입합니다.
기준 온도계는 PRT 종류로 준비해 주시면 아무 온도계나 상관없습니다.
마개를 제거 후 온도 센서를 밀어 넣으면 구멍이 있습니다. 사진에서 보는 것과는 각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구멍에 온도센서를 삽입합니다.
* 주의 사항 : 해당 작업은 새로운 오프셋을 주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값은 사라집니다. 기존 값을 유지하고 싶으면 기준 온도 대비 컨트롤러의 온도를 따로 적어 놓으시길 바랍니다.
컨트롤러 좌측 PAGE 버튼을 LEv1 이라는 표시가 나올 때까지 꾹 누릅니다.
윗 화살표 키를 눌러 LEv2에 진입합니다.
해당 메뉴에서 잠깐 기다리면 PASS CODE를 요구 합니다.
방향키를 이용하여 PASS CODE 2 또는 15, 17 중 메뉴 진입이 가능한 코드를 입력 후 메뉴에 진입합니다. (일반적으로 2 입니다)
정상적으로 진입했다면 처음 화면으로 돌아 가지는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새로운 메뉴가 생기게 됩니다.
Calibration 패러미터가 보일 때 까지 SCROLL 버튼을 누릅니다.
총 5개의 보정 포인트를 넣을 수 있습니다.
테스트 하고자 하는 온도에 맞춰 놓은 후 충분히 안정화가 되었다고 판단 되었을 때 본작업을 수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Pnt.1 에서 만약 20'C를 보정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기준온도계의 온도가 21'C를 지시하고 컨트롤러가 20'C 를 지시하고 있으면 위 작업에서 컨트롤러 수치를 21'C 만큼 높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컨트롤 하고 있는 값은 20'C 인데 현재 읽고 있는 값이 21'C로 바뀌었기 때문에 현재의 컨트롤러 값으로 다시 맞추기 위해 컨트롤러는 1'C를 내리게 됩니다. 그러면서 이제 기준 온도계와 온도 컨트롤러 온도가 서로 맞게 되는 것입니다.
나머지 5포인트도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온도에 맞추어 보정해주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아이소텍에서는 1, 2, 3포인트를 각각 20, 38, 50'C 씩 보정하고 나머지 포인트는 건드리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주의사항으로 보정작업은 온도상승 방향으로 진행 해 주시길 바랍니다.
예를 들면 온도 보정 작업이 20, 38, 50 이 순서는 괜찮으나 38, 20, 50 이 순서는 안 좋다는 얘기입니다.
보정작업이 다 끝났으면
UCAL 이라고 되어 있는 최종 항목이 ON이 되어 있어야 보정한 오프셋이 제대로 반영이 됩니다.
리셋도 가능한데 해당 작업은 원치 않더라도 해당 메뉴에 잠깐 머물러서 깜빡 거리는 순간 반영이 되니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해당 FAQ가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었다면 게시글 아래의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면 A/S 접수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A/S 접수하기
ISOTECH 제품은 Dryblock, Blackbody 등 모두 3216 컨트롤러를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이 생긴 것이 3216 컨트롤러이고 만약 테두리가 어두운 색상으로 깔려 있다면 해당 컨트롤러는 2216 컨트롤러라고 해서 오래 전에 나온 것이라 보면 됩니다.
따라서 컨트롤러가 모두 같기 때문에 장비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컨트롤러의 보정작업은 동일합니다.
해당 글에서는 989라는 Blackbody 장비를 이용해서 보정작업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정이 왜 필요한가??
보정은 교정과는 다른 말입니다. 교정은 비교라고 하면 보정은 틀어진 값을 바로 잡는 작업을 뜻합니다.
장비는 사용하는 시간에 따라 온도값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환경, 노후화, 기타 요인에 의해 온도의 지시값이 차이가 나게 되는데 이 틀어진 값을 기준점과 비교하여 다시 맞춰주는 작업을 보정이라 합니다.
그럼 989를 통해 보정이라는 작업을 이해해 보고 보정 절차를 이해해 보도록 합시다.
989 측면에는 989의 펠티어 블록의 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도록 마개가 씌워져 있습니다. 해당 마개를 제거하고 기준 온도계를 삽입합니다.
기준 온도계는 PRT 종류로 준비해 주시면 아무 온도계나 상관없습니다.
마개를 제거 후 온도 센서를 밀어 넣으면 구멍이 있습니다. 사진에서 보는 것과는 각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구멍에 온도센서를 삽입합니다.
* 주의 사항 : 해당 작업은 새로운 오프셋을 주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값은 사라집니다. 기존 값을 유지하고 싶으면 기준 온도 대비 컨트롤러의 온도를 따로 적어 놓으시길 바랍니다.
컨트롤러 좌측 PAGE 버튼을 LEv1 이라는 표시가 나올 때까지 꾹 누릅니다.
윗 화살표 키를 눌러 LEv2에 진입합니다.
해당 메뉴에서 잠깐 기다리면 PASS CODE를 요구 합니다.
방향키를 이용하여 PASS CODE 2 또는 15, 17 중 메뉴 진입이 가능한 코드를 입력 후 메뉴에 진입합니다. (일반적으로 2 입니다)
정상적으로 진입했다면 처음 화면으로 돌아 가지는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새로운 메뉴가 생기게 됩니다.
Calibration 패러미터가 보일 때 까지 SCROLL 버튼을 누릅니다.
총 5개의 보정 포인트를 넣을 수 있습니다.
테스트 하고자 하는 온도에 맞춰 놓은 후 충분히 안정화가 되었다고 판단 되었을 때 본작업을 수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Pnt.1 에서 만약 20'C를 보정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기준온도계의 온도가 21'C를 지시하고 컨트롤러가 20'C 를 지시하고 있으면 위 작업에서 컨트롤러 수치를 21'C 만큼 높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컨트롤 하고 있는 값은 20'C 인데 현재 읽고 있는 값이 21'C로 바뀌었기 때문에 현재의 컨트롤러 값으로 다시 맞추기 위해 컨트롤러는 1'C를 내리게 됩니다. 그러면서 이제 기준 온도계와 온도 컨트롤러 온도가 서로 맞게 되는 것입니다.
나머지 5포인트도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온도에 맞추어 보정해주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아이소텍에서는 1, 2, 3포인트를 각각 20, 38, 50'C 씩 보정하고 나머지 포인트는 건드리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주의사항으로 보정작업은 온도상승 방향으로 진행 해 주시길 바랍니다.
예를 들면 온도 보정 작업이 20, 38, 50 이 순서는 괜찮으나 38, 20, 50 이 순서는 안 좋다는 얘기입니다.
보정작업이 다 끝났으면
UCAL 이라고 되어 있는 최종 항목이 ON이 되어 있어야 보정한 오프셋이 제대로 반영이 됩니다.
리셋도 가능한데 해당 작업은 원치 않더라도 해당 메뉴에 잠깐 머물러서 깜빡 거리는 순간 반영이 되니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해당 FAQ가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었다면 게시글 아래의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면 A/S 접수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A/S 접수하기